행복한 퇴직을 위해 퇴직전부터 준비하면 좋을 3가지
최근에 은행권 감원 뉴스가 심심치 않게 들리고 있습니다. 은행들이 금리가 오르면서 돈은 많이 벌었지만 디지털 금융이 자리를 잡으면서 아이러니하게도 점포수를 줄이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점에 필요했던 인력들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서 인력을 감축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의에 의한 퇴직은 아니지만 지금 희망퇴직을 하게 되면 돈이 많은 은행들이 상대적으로 퇴직금을 넉넉하게 주지 않을까 하면서 퇴직을 하겠다는 사람이 제법 많다고 합니다. 젊은 나이에 퇴직을 한 분들은 물론 경제활동을 계속 이어나가야 하겠지만 오랜 근무 이후에 퇴직을 앞둔 분들은 당분간은 경제 활동 없이 집에서 지내게 되는 분들도 많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현재 직장을 다니고 있다고 해도 결코 안심할 수도 없고 안심해서도 안 되는 시대인 것 같습니다. 평균적으로 퇴직 후의 삶은 30년이 넘는다고 합니다.
저는 가끔 유튜브로 50대 중반에 퇴직을 한 가장이 유튜버인 딸과 함께 만드는 가족 코믹 컨텐츠 영상을 보고 있는데, 오늘영상에서는 퇴직한 가장 본인의 퇴직 4년 차에 대한 생각을 듣게 되었고 공감되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영상을 보고 느낀 부분과 저의 생각을 더해서 퇴직을 대비하여 평소에 신경 써야 할 부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평소에 가족들과 소통에 힘쓴다.
평소 많이 간과하고 지내는 사항이지만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 여겨집니다. 퇴직을 하게 되면 내 주변의 인간관계가 완전히 달라지게 됩니다. 회사를 다닐때는 거의 매일 직장 동료나 선후배 거래처 사람을 중심으로 소통하고 생활하죠. 그러다 퇴직을 하게 되면 집에 있는 시간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됩니다. 회사 다닐 때는 일 때문에 힘들기도 하고 신경 쓰이다 보니 집에 있는 가족들과 자주 대화를 하거나 소통을 하는데 소홀할 수밖에 없습니다.
나가서 생활하는 시간이 대부분이다 보니 집에서 가족들과 이런저런 사사로운 것까지 이야기하고 대화하는 시간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데요. 이렇게 지내다가 갑자기 퇴직을 하면 그때서야 가족들과 대화를 해보려 서투른 가족 간의 소통을 시도를 하게 되지만 이미 가족들은 익숙하지 않아서 당황하게 됩니다. 아빠가 이제 와서 왜 저러는 거지?라는 반응을 한다고 하더군요. 가족은 인간관계 중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하기에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것 같습니다.
2. 건강관리를 열심히 한다.
직장일을 하다보면 일욕심도 생기고 경쟁사회이기에 때문에 많은 신경을 쓰게 됩니다. 아무래도 일을 성과로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육체적 피로에 시달리는 게 어찌 보면 당연할 겁니다. 젊을 때는 체력이 어느 정도 뒷받침 되기에 버틸 수도 있겠지만 계속 누적이 되다 보면 한순간에 건강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회사일을 그만두게 되면 그때나 건강관리 열심히 해야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미 건강이 나빠지기 시작하면 회복하기 상당히 어려운 게 건강입니다.
내가 직장생활을 하면서 병행할 수 있는 운동을 찾아서 하고, 만성질환에 걸리지 않게 식습관이나 생활습관을 조절하는 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힘들게 악착같이 벌어둔 돈을 나중에 퇴직 후 병원비로 지출하게 되면 무척 억울할 것 같습니다.
3. 준전문가 수준의 취미생활 하나 익혀놓는다.
누구나 관심있는 분야가 있을 겁니다. 평소에 내가 배우고 싶던 악기나 미술, 운동, 베이커리 등 요새는 참 다양한 분야가 많습니다. 꼭 돈을 들여야 양질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건 아니죠. 온라인으로 찾아보면 블로그나 유튜브에도 상당히 좋은 강의들이 많습니다. 내가 관심이 있었고 배우고 싶은 분야를 취미 삼아 조금씩 배우다 보면 초보를 넘어서 준전문가로 실력을 갖출 수도 있습니다.
어떤 분은 목공을 취미로 하다가 한옥을 짓는 법을 배워 노후에 살 한옥도 지으시고 그러다가 지인들의 집도 지어주면서 제2의 직업을 찾기도 하시더군요. 또 어떤 분은 평소에 만들기를 좋아하셨는데 취미로 가죽 공예를 배우시다가 나중에는 가죽으로 가방을 전문적으로 만드시게 되면서 판매까지 하십니다.
이제는 평생동안 하나의 직업이 아닌 여러 개의 직업이 필수거 된 사회라고 합니다. 내가 하나의 직업을 끝내고 다른 분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미리미리 어떠한 취미든 기본부터 배우는 시간들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관련 글]
중년의 나를 잘 데리고 사는방법 5가지
시대가 변하면서 중년이라는 의미가 많이 달라진 거 같습니다. 몇십 년 전만 하더라도 중년이라 하면 이제 노년에 가까운 늙은 세대라는 느낌이 강했는데 이제는 늘어난 수명에 비교해서 이제
digital-creato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