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관련/부동산 공부

미국의 빅스텝 정책, 서울 2040플랜 여의도 시범아파트 재건축 (220507)

감사하는 하루♡♡ 2022. 5. 7. 10:47

1. 미국의 빅스텝 금융정책

미국의 금융정책이 '빅스텝'(기준금리0.50% 인상) 국면에 접어들면서 이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도 2개월 연속 인상할 가능성이 커졌다.
결국 우리나라도 금리인상을 할 수밖에 없고 대출금리가 지속적인 상승폭을 보이면 재건축단지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였던 서울 아파트값도 타격이 크다. 일반 소비자의 경우 대부분 대출을 얻어 아파트를 매입하기 때문에 '금융부담'이 커질수록 관망세로 돌아설 수 밖에 없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076469?sid=101

'美 빅스텝'에 기준금리 인상 유력…불씨 지핀 '서울집값' 다시 냉각?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미국의 금융정책이 '빅스텝'(기준금리 0.50% 인상) 국면에 접어들면서 이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도 2개월 연속 인상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의 대출금

n.news.naver.com

개인적인 생각

미국이 다행히 자이언트 스텝은 아니지만 빅스텝을 22년만에 단행했다고 한다. 그만큼 미국은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증거로 보인다. 앞으로 6월 ,7월에도 빅스텝을 이어갈 듯 보이고 양적 긴축을 단행하면서 시중에 돈을 흡수하려는 전략이다. 미국 이리 금리를 올리게 되면 미국 은행도 올려야 하고 그에 맞춰 우리나라 은행들의 금리는 앞으로 7-8% 이상 갈듯. 미국이야 경제가 워낙 탄탄해서 끄덕 없이 보이지만 다른 나라들의 여파도 상당할 듯 보인다. 우리나라는 외화 보유고가 튼튼하고 경제규모도 10위안에 드니 그나만 안심을 해도 좋을까?
주식시장은 이미 고금리로 인해 짓눌려 하락세로 기고 있다. 부동산은 워낙 덩치가 크다 보니 서서히 하락세를 보이거나 지역격차가 더 심해질 듯.


이런 시기에는 고금리가 3년이나 5년 정도 지속될 거 같으니 그 시기를 주시하다가 고금리 시대가 지날 때에 상황을 봐서 투자를 들어가는 게 맞는 듯.

새로운 정부가 재건축이나 신도시 재건축 공약에 신경을 쓰고 있지만 심상찮은 금리인상 때문에 물가상승을 따르지 못하는 월급으로는 일반인들이 부동산에 투자하기엔 엄청 어려울 듯 보인다.


2. 서울 여의도 노후 아파트 초고층단지로 재건축


서울 여의도의 대표적인 노후 단지인 ‘시범아파트’가 최고 60층 높이의 초고층 단지로 재건축이 추진된다. 인근의 ‘한양아파트’도 최고 50층 높이로 탈바꿈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범과 한양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신속 통합기획’을 적용해 각각 재건축을 진행하고 있다. 신속 통합기획은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이를 지원하는 형태로 서울시가 정비계획 수립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입해 사업 기간을 대폭 단축하는 장점이 있다.
한강 조망권을 고려해 한강 변의 일부 단지는 20~30층 정도로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 용적률 완화에 대한 공공 기여로 한강변 인근 수변 공원과 문화 시설을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050876?sid=101

여의도 시범, 최고 60층 탈바꿈

[서울경제] 서울 여의도의 대표적인 노후 단지인 ‘시범아파트’가 최고 60층 높이의 초고층 단지로 재건축이 추진된다. 인근의 ‘한양아파트’도 최고 50층 높이로 탈바꿈될 것으로 전망된다. 6

n.news.naver.com


개인적인 생각

서울시 추진의 신통 기획은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지원하는 형태라는 점과 사업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재건축이 되면 한강변 근처에 대규모 가구가 들어서게 되어 한강 주변이 송도 국제도시처럼 멋진 경관이 연출될 거 같다.
여의도가 2040 서울플랜의 3도심중 하나여서 용도지역을 상향해 도심형 주거를 도입한다고 하니 2040 서울플랜과 3 도심에 대하여도 좀 더 알아봐야겠다.